우리는 레퍼런스로 말하지 않겠습니다.
일자 2025.04.15 조회 755
네이버 스마트스토어 수수료 및 정책 변경 요약!
안녕하세요 디어컴퍼니입니다 :)
.
.
.
이번에 알려드릴 사항은
네이버 스마트스토어 수수료 및 정책 변경 요약 (2025년 6월 2일 적용)
이번 개편은 네이버 쇼핑 구조 개편 및 AI 기반 개인화 추천 서비스 도입에 맞춰 수수료 체계를 조정하는 것이 핵심입니다.
기존 유입수수료 폐지, 새로운 판매수수료 도입, 판매자 마케팅 수수료 신설 등이 주요 변화입니다.
???? 핵심 변경 사항
✅ 유입수수료(2%) 폐지 → 판매수수료 체계 도입
✅ 판매수수료: 0.91%~3.64% (부가세 제외)로 변경
✅ 네이버 광고, 외부 마케팅 통한 판매 시 낮은 수수료 적용 (판매자 마케팅 수수료 도입)
✅ 버티컬 서비스 및 커머스 솔루션 사용료 일부 인하
✅ 정기구독 솔루션 무료 전환, 렌탈 솔루션 수수료 인하
★판매자 대응 전략
✔ 네이버 광고 및 외부 마케팅 적극 활용 → 낮은 수수료 적용
✔ 판매자센터 '마케팅 링크' 기능 적극 사용 → 수수료 절감
✔ 스토어 할인 적극 활용하여 실질 수수료 절감
✔ 브랜드스토어 혜택을 활용해 판매 효율 극대화
위 내용과 관련하여 설명을 드리고자 합니다.
.
.
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<목차>
1. 기존과 현재 수수료 차이점 사항들
2. 수수료 변경과 네이버플러스스토어의 연관성
3. 수수료 개편을 통해 혼란이 되는 사항들 정리하기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1. 기존과 현재 수수료 차이점 사항들
기존 수수료 구조
- 네이버페이 주문관리 수수료: 결제 수단에 따라 부과
- 유입수수료 : 네이버쇼핑을 통한 유입 시 약 2%(부가세포함)
변경된 수수료 구조
- 판매수수료로 통합 : 유입수수료를 폐지하고, 판매수수료로 일원화
- 스마트스토어 판매수수료 : 2.73% (부가세 별도)
- 브랜드스토어 판매수수료 : 3.64% (부가세 별도)
적용 일정 및 유의사항
시행일 : 2024년 6월 2일부터
조치사항 : 변경된 이용약관에 동의하지 않으면, 스마트스토어를 통한 상품 판매가 불가능합니다.
추가 혜택 및 정책 변화
쇼핑라이브 수수료 인하 : 3% -> 0.91%
원쁠딜 수수료 인하 : 5% -> 2.73%
N배송관 및 브랜드솔루션패키지 수수료: 0%로 인하
위와 같은 개편으로 들 수 있는 의문점..!
- 일반영역이 아닌 광고영역으로 구매하는게 더 괜찮은 사항일까?
>> 맞습니다. 오히려 광고구좌를 활용해 직접 유입을 만들어내는 쪽이 더 이득일 수 있는 사항입니다.
아래 사진으로 참고해 주시면 더 쉽게 이해가 가능합니다.
실제로 좀 더 쉽게 벌어지고 있는 사항을 말씀드리면,
[과거]
- 무료 노출(일반영역) -> 무료 클릭 -> 전환 -> 낮은 수수료 -> 효율 굿!
[지금]
- 무료 노출(일반영역) -> 무료 클릭 -> 전환 -> 수수료 2.73% 이상 -> 클릭은 무료지만 수수료로 돈이 많이 빠져나감.
위와 같은 형태로 일반영역과 광고구좌 영역, 과거와 현재 차이점을 보여드렸고,
아래 확인되는 엑셀 자료의 경우 좀 더 쉽게 이해가능하도록 저희가 직접 정리한 내용입니다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2. 수수료 변경과 네이버플러스스토어의 연관성
두번째로 확인해볼 사항은 위 수수료 개편사항이 네이버플러스스토어와 연관이 있다는 사항입니다.
위 변화는 네이버 플러스스토어 중심의 커머스 플랫폼 전환에 따른 조치로, AI 기반 초개인화 추천을 통해 상품이 노출되는 방식으로 변화하고 있다고 합니다.
연관성을 간단하게 요약하자면,
1. 스마트스토어 -> 네이버플러스스토어 전환구조
- 네이버는 기존의 '스마트스토어'를 점차 통합하여 "네이버플러스스토어"라는 개인화 중심의 커머스 허브로 개편 중입니다.
스토어 유입방식이 '내가 띄운 광고 or 네이버의 추천'이냐에 따라 수수료 차등을 두는 구조로 바뀐 것입니다.
좀 더 쉽게 표로 보여드립니다.
결국, 스마트스토어 -> 네이버플러스스토어로의 변화는 단순 명칭 변화가 아니라, 구조적 수익 모델과 운영 전략 전체가 바뀌는 흐름입니다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3. 수수료 개편을 통해 혼란이 되는 사항들
(1) 일반영역의 경우 플러스스토어처럼 유저개인화 지면으로 노출되는 형태가 아닌데 왜 가격비교 일반영역 수수료가 비싸지나요?
>> 일반영역(검색 or 가격비교 영역)도 현재는 네이버 추천 구조 안에 일부 포함되어있다고 간주하기 때문입니다.
검색이든 가격비교든 네이버가 만든 화면안에서 고객유입이 발생하였다면, 네이버 유입으로 보고 수수료를 높게 책정한 사항입니다.
(2) 일반영역 < 광고구좌 구매로 변경하는 사항이 나을까요?
>> 맞습니다. 위에서도 살짝 말씀드렸지만, 일전에는 일반영역으로 유입된 무과금 클릭 -> 전환이 가장 효율적이였지만, 지금은 해당 일반영역 유입도 높은 수수료를 물게 되면서,
오히려 광고구좌를 활용해 직접 유입을 만들어내는 쪽이 더 이득일 수 있는 사항이 되었습니다.
(3) 그러면 일반영역에 집중도를 떨어뜨리고, 광고로만 신경써도 되는 사항일까?
>> 해당 사항들은 cpc클릭당 비용 및 어떤 상품을 취급하는지에 따라 조금씩 다를 수 있습니다.
유입당 수수료는 높지만, 광고비가 안 드니 여전히 쓸만한 사항이고, 광고비 클릭당비용 소진폭이 너무 클경우에도 확인해보면 좋을 사항입니다.
또 전환율이 좋고, 경쟁이 약한 키워드라면 유지할 가치가 있습니다!
.
.
.
간단하게 핵심포인트로만 수수료개편에 대한 사항들 정리하여 말씀드렸습니다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해당 내용들은 광고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사항은 아닐지여도,
저희 디어컴퍼니의 경우 광고 뿐만 아니라 우리업체의 성장가능성을 보고, 최대한의 서포팅을 드립니다.
업체 자체가 튼튼한 기반으로 성장될 수 있도록 누구보다 디테일하게 케어가 진행되기에 해당 이슈사항이 있을경우 빠르게 가이드가 가능한 사항입니다.
위와같은 내용 외에도 무궁무진한 변경사항들 안에서 궁금하신 부분들이나, 디테일한 도움이 필요하실 경우
언제든지 문의주세요:)